본문 바로가기
  • SEOYOUNBIRAM
학술도서

글쓰기의 원리와 방법

by 서연비람 2024. 2. 22.

교보문고 바로가기          알라딘 바로가기          YES24 바로가기

책 소개

소설가나 시인 같은 예술가를 양성하는 도구로써 글쓰기가 아니라, 삶의 도구로써 글쓰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대학과 기업에서는 기계적이고 천편일률적인 글을 쓰는 사람보다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갖춘 글을 쓸 수 있는 사람을 찾고 있다. 중고등학교와 대학에서 좀 더 체계적인 글쓰기 교육이 필요한 시점에 온 것이다.
고려대, 경희대, 경기대. 장안대 등에서 다년간 학생들에게 글쓰기를 지도해온 저자는 글쓰기의 원리와 방법을 정립하고자 많은 국내외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왔다. 지은이는 그동안 축적해온 글쓰기 이론에 관한 글을 수정하고 보완해 『글쓰기의 원리와 방법』(서연비람)이라고 이름 붙여 세상에 내놓았다.
모두 5장으로 구성된 『글쓰기의 원리와 방법』에서 지은이는 글쓰기를 학술적으로 정립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문장 이론 따로, 예시 문장 따로가 아니라, 이론에 알맞은 예시 문장을 한국 고전에서부터 최근의 신문 사설에 이르기까지 한국어로 쓰인 각종 인쇄물에서 찾았다. 지은이는 비록 글쓰기 이론의 예시에 알맞은 문장이라 하더라도 ‘잘 지은 글’이라고 판단이 서지 않으면 빼버리고, ‘잘 지은 글’이라고 판단되는 글을 예시 문장으로 채택했다.
1986년 월간 『동서문학』 제1회 신인문학상에 중편소설 「검은 땅 비탈 위」가 당선되어 문단 데뷔한 이래 연작소설집 『마을』(실천문학사, 2009), 『탄(炭)』(미래사, 1988). 중단편집 『연리지가 있는 풍경』(문이당, 2005), 『말없는 놀이꾼들』(풀빛, 1996), 『금지된 문』(풀빛, 1993) 등의 창작집을 출간한 소설가인 지은이는 『한국환경생태소설연구』(서정시학, 2012). 󰡔한국어 어휘와 표현Ⅰ:파생어ㆍ합성어ㆍ신체어ㆍ친족어ㆍ속담󰡕(서정시학, 2014), 󰡔한국어 어휘와 표현Ⅱ:관용어ㆍ한자성어ㆍ산업어󰡕(서정시학, 2015), 󰡔한국어 어휘와 표현Ⅲ:고유어󰡕(서정시학, 2015), 󰡔한국어 어휘와 표현Ⅳ:한자어󰡕(서정시학, 2016) 등의 논저도 출간한 국문학자이기도 하다. 지은이는 “근래에 이르러 ‘언어에 바탕을 둔 글쓰기’를 대수롭지 않게 보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고 말하면서 “내용도 중요하지만 그 내용을 담는 그릇인 언어도 중요하다. 내용을 담는 그릇인 언어를 대수롭지 않게 보는 글쓰기는 사상누각에 불과할 뿐이다.”라고 주장한다.
여기서 ‘언어에 바탕을 둔 글쓰기’란 문법적 글쓰기를 말한다. 근래에 이르러 글쓰기에서 한국어 어휘와 문법에 대한 서술 분량이 줄어드는 것에 대하여 안타까움을 표시한 지은이는 한국어 문법에 바탕을 둔 글쓰기에 대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글쓰기의 원리와 방법』을 집필했다.


목차

머리말

제Ⅰ장 문장과 표현
1. 주제
2. 단락
3. 구성
4. 문장의 기본 구조와 정확한 어휘의 사용
5. 수사와 기교

제 Ⅱ 장 언어와 표현
1. 한국어의 특질
2. 형태소와 어휘
3. 품사와 표현

제 Ⅲ 장 묘사와 서사
1. 묘사
2. 서사

제Ⅳ장 설명과 논증
1. 설명
2. 논증
3. 논문 작성법
4. 논술문 작성법

제 Ⅴ 장 글쓰기와 한글맞춤법
1. 한글맞춤법의 원리
2. 한글맞춤법 각론
3. 문장부호

참고문헌


저자 소개

김종성 지음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박사)
1986년 월간 『동서문학』 제1회 신인문학상에 중편소설 「검은 땅 비탈 위」가 당선되어 문단 데뷔.
2006년 제19회 경희문학상 소설 부문 수상.
연작소설집 『마을』(실천문학사, 2009), 『탄(炭)』(미래사, 1988) 출간.
중단편집 『연리지가 있는 풍경』(문이당, 2005), 『말없는 놀이꾼들』(풀빛, 1996), 『금지된 문』(풀빛, 1993) 등 출간.
논저 󰡔한국어 어휘와 표현Ⅰ:파생어ㆍ합성어ㆍ신체어ㆍ친족어ㆍ속담󰡕(서정시학, 2014), 󰡔한국어 어휘와 표현Ⅱ:관용어ㆍ한자성어ㆍ산업어󰡕(서정시학, 2015), 󰡔한국어 어휘와 표현Ⅲ:고유어󰡕(서정시학, 2015), 󰡔한국어 어휘와 표현Ⅳ:한자어󰡕(서정시학, 2016), 『한국환경생태소설연구』(서정시학, 2012),『글쓰기와 서사의 방법』(서정시학, 2016) 등 출간.

전 고려대학교 문화창의학부 교수.
전 경희대학교 국문과 겸임교수.
전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문학예술과 강사
전 경기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과 강사.
현 경기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강사.


책 속으로

주제와 핵심어 p.30

참주제가 완성되면 거기에 맞는 주제문(主題文)을 작성해 보아야 한다. 주제문을 효과적으로 작성하려면 우선 무엇보다도 표현이 정확하고 구체적이어야 하며, 너무 넓은 범위를 다루지 않도록 하고, 정확한 근거에 의해 증명될 수 있는 내용으로 해야 한다. 초점을 하나의 주제에 한정되어 맞추어야 하고 명료하게 표현한다, 서술이 일관성이 없거나 모순되어서는 안 되며, 막연한 추측성 표현이나 불필요한 구절을 포함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주어, 서술어를 갖춘 완전한 문장이어야 한다. 평서문이 좋으며, 의문문은 안 된다. 또한 글쓴이의 의견이나 태도가 분명하게 드러나야 하며,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상식적인 것이어서는 안 된다. 뿐만 아니라 주제문은 글의 분량과 성격이나 글을 읽을 사람의 성격을 염두에 두고 작성해야 한다.
이러한 주제문은 문학작품 등에서는 문장의 표면에 잘 드러나 있지 않으나, 논설문, 보고문, 설명문 같은 문장에서는 겉으로 잘 드러나 있다.

1) 다락의 개념 p.42

(1) 단락의 어원과 개념
문장이 모여서 통일된 한 가지 생각을 이루는 글의 덩어리를 단락(段落, paragraph)이라고 한다. ‘paragraph’의 어원(語源)은 고대 그리스어의 'para'와 ‘graphein'의 합성어이다. 'para'는 ‘바꾼다’는 의미를, ‘graphe in'은 ‘쓴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줄을 바꾸어 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락은 그 내용의 전개상 몇 개의 단위로 나눈다. 정확하게는 ‘문장의 단락’이라 하나, 줄여서 ‘문단’, ‘단락’, ‘단’이라고도 한다. 단락은 행(行)을 달리하여 표시되며,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 구성된다. 단락은 문장보다는 길고 복잡한 한 단위의 생각이다.

(2) 줄갈이

단락을 구분할 때 첫 칸을 비우는 것을 줄갈이(改行, indention)라고 한다. 대화문은 첫 칸을 비우고, 인용단락은 첫 두 칸을 비운다. 글에서 단락을 특별히 강조하는 이유는 단락은 곧 글의 논리를 표상하기 때문이다. 논리가 어떻게 연결되면서 한 편의 글이 되는가를, 글을 읽는 사람은 단락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다.

(3) 단락 가르기 p.49

단락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가른다.

① 단락은 한 가지 생각이 끝날 때 가른다. 대체로 소단락(小段落)이 되기 쉽다.
② 단락을 가를 때 전체 문장의 통일과 정돈을 생각해서 가른다. 대체로 대단락(大段落)이 되기 쉽다.
③ 시점(視點, point of view)을 새롭게 바꿀 때 단락을 새롭게 설정한다.
④ 별도의 생각을 말하고자 할 때 단락을 새롭게 설정한다.
⑤ 색다른 논점(論點)으로 이야기를 옮기려 할 때 단락을 새롭게 설정한다.
⑥ 구체적인 예시와 자료를 덧붙일 때 단락을 새롭게 설정한다.
⑦ 시간과 장소가 바뀔 때 단락을 새롭게 설정한다.
⑧ 등장인물이나 행동이 바뀔 때 단락을 새롭게 설정한다.
⑨ 내용이 바뀔 때 단락을 새롭게 설정한다.

한편 행(行)을 자주 바꿔 단락을 많이 만들면 독자에게 읽기에 편리하고, 지루한 감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소설 작품 같은 경우는 분위기를 서정적(抒情的)으로 만들어주는 효과도 있다.

(3) 어휘의 상징 p.219

조세희의 연작소설집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은 1978년 출간되자마자, 한국 사회와 문학계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조세희는 어휘라는 벽돌을 잘 사용하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라는 건축물을 지었기 때문에 그 건축물이 시대의 질곡을 견뎌내고 고전으로 회자하게 된 것이다.
조세희의 문제의식은 “말이 아닌 ‘비언어’로 우리를 괴롭히고 모독하는 철저한 제삼세계형 파괴자들을 '언어'로 상대하겠다”는 말 속에 잘 함축되어 있다. 근대에는 상징 언어보다 기술 언어가 발달했다. 기술 언어는 직접적으로 서술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할 말을 분명하게 하는 것이다. 할 말을 분명하게 말한다는 것은 자기의 뜻을 당당하게 밝히는 것이지만 동시에 할 말을 다한다는 것이다. 할 말을 다 못 해서 나온 상징 언어와 다르다. 할 말을 다할 수 없었던 시대에 조세희는 상징 언어로 ‘제삼세계형 파괴자’들을 상대했다. 조세희는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서 일반적인 어휘를 사적으로 ‘다른 것을 의미’하도록 하는데 뛰어난 능력을 보여준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구사된 어휘의 상징은 주로 개인적 상징으로 문맥의 앞뒤를 잘 살펴서 해석을 해야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학술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현대소설사  (0) 2024.02.23
정한숙 소설 연구  (0) 2024.02.23
번역과 해설 삼국유사  (0) 2024.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