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EOYOUNBIRAM
역사와 인물/역사속 인물

[비람북스 인물시리즈] 성철 - 누더기 한 벌과 몽당 색연필

by 서연비람 2024. 3. 14.

교보문고 바로가기          알라딘 바로가기          YES24 바로가기

책 소개

성철 스님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주거나 깊이가 있는 말씀을 많이 남겼다. 사람들은 종교를 떠나 스님의 다들 너무 걱정하지 마라는 말씀을 가장 많이 공감하고 좋아하는 것 같다. 청소년이나 어른이나 할 것 없이 일상이 늘 걱정인 사람들을 위로하는 말씀이기 때문이다. 더하여 철학적이고 깊은 뜻인 자기를 바로 봅시다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라는 말씀도 남겼다. 스님은 평생 사람들이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는 좋은 말씀을 통해 항상 맑고 바른 마음을 가지도록 가르쳐 주었다.


목차

머리말

1
1. 다들 걱정하지 마라
2. 아이들 마음이 부처의 마음이다
3. 산속에 핀 연꽃, 백련암
4. 나는 아무것도 모르는 산사람이다
5. 바느질을 하는 스님
6. 가난부터 배워라
7. 화려한 겉모습보다 정신이 건강해야

2
1. 청년 이영주
2. 일하지 않으면 먹지도 말라
3. 청담 스님과의 만남
4, 일본식 불교를 바꾸려다 실패하다
5. 모든 사람에게 평등한 마음을 가져야
6. 깨닫기 전에는 눕지 않겠다
7. 불공은 남을 도와주는 것
8. 책 창고를 짓다

3
1. 중은 생일이 없다
2. 절하다 죽는 일은 없다
3. 삼천 번 절하고 와라
4. 마산역 앞 광장에 간판을 세웁시다
5. 신문에 나려고 그 짓을 했지?
6. 공무원이 도둑질하지 말아야 해!
7. 병도 불행도 마음이 낫게 한다
8. 중생을 돕는 것이 부처에게 공양 올리는 것
9. 귀신 불교를 버려야 하네
10. 성철은 한국 불교의 보물이야!

4
1. 스승 동산 스님과 범어사 추억
2. 종합 수련장인 해인 총림
3. 자기를 버리고 모든 것을 위해 살라
4. 남을 위해 기도해라
5. 바르게 사는 것이 불교다

5
1. 맑고 깨끗한 스님들이 불교의 중심이 되어야
2.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
3. 사람들은 행동으로 통일을 이룰 생각을 안 해
4. 사람 마음속에 다이아몬드 광산이 들어있다고 생각해봐
5. 남을 속이는 게 진짜 도둑이다
6. 물질은 정신을 병들게 한다
7. 나는 도둑놈 두목이 아니다
8. 다른 종교를 존경하라
9. 법당 기와를 팔아서라도 공부해라

6
1. 벌레를 구하는 것도 불공이다
2. 남을 도와야 내가 산다
3. 태어나면 죽는다
4. 왼손이 하는 일을 오른손이 모르게 하라
5. 세상과 거꾸로 사는 것이 불교
6. 어느 어머니의 삼천 배
7. 세상을 행복하게 하려는 마음이 보살
8. 나는 물러가는 늙은이
9. 어린이는 천진한 부처님

7
1. 나도 갈 때가 됐나 보다
2. 가야산에 살았던 아버지와 딸
3. 누더기 한 벌과 몽당 색연필
4. 오색영롱한 사리의 비밀

소설 성철-다들 너무 걱정하지 마라해설
성철 연보
소설 성철을 전후한 한국사 연표


저자 소개

공광규 지음

1960년 서울 출생, 충청남도 청양에서 성장.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졸업.
단국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졸업(문학박사).

1986년 월간 동서문학신인문학상 당선.
윤동주상, 현대불교문학상,
신석정문학상, 녹색문학상 등 수상
Longlisted for 2019 University of Canberra Vice Chancellor's International Poetry Prize.

교과서 수록
수필 맑은 슬픔, 2009학년도 교육과정 신사고 1-2
얼굴반찬2015학년도 교육과정 비상교육 3-1

시집 담장을 허물다』 『서사시 금강산』 『서사시 동해등 출간.
산문집 맑은 슬픔출간.
시창작 교재 이야기가 있는 시창작 수업출간.


책 속으로

3. 산속에 핀 연꽃, 백련암 p.21

상북도 합천군 가야산에는 해인사라는 큰절이 있습니다. 여러 스님들이 함께 배우며 머무는 큰절이어서 총림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총림은 많은 스님들이 모인 곳을 나무가 우거진 수풀에 비유한 말입니다. 큰절에 딸린 조그만 절을 암자라고 하는데, 해인사에는 여러 개의 암자가 산속 이곳저곳에 박혀 있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백련암입니다.
가야산 중턱에 하얀 연꽃이 피어 있는 것처럼 앉아 있는 백련암은 사백여 년 전에 지은 작은 암자입니다. 이 암자에 가려면 해인사에서 가파른 고갯길을 한참 걸어 올라가야 합니다. 사람들은 힘든 오르막길임에도 불구하고 이곳에 사는 스님의 말씀을 들으려고 이 암자를 찾았습니다.

5. 바느질 하는 스님 p.28~29

철 스님은 입고, 먹고, 머무는 것들에 욕심을 내지 않았습니다. 다만 맑고 바르게 깨우치려고 수행할 뿐이었습니다.
어느 날, 어떤 사람이 스님을 찾아와 물었습니다.
“스님, 요즘 어떻게 지내십니까?”
“나는 해가 뜨는지 달이 뜨는지 그런 것은 모르고 산다. 배가 고프면 밥 한 숟갈 뜨고, 피곤하면 자는 것이 내 하루의 일이다.”
그러나 성철 스님은 대답처럼 아무 때나 자고, 먹고,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스님은 항상 밥 10시 이후에 잠자리에 들어 새벽 2시에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하루도 빠지지 않고 새벽마다 부처님 앞에 나아가 108번 절을 했습니다.
그런데 스님이 보기에 젊은 스님들은 잠을 너무 많이 자는 것 같았습니다. 스님은 젊은 스님들이 자고 있는 방으로 뛰어 들어가 곡괭이로 방바닥을 콱 내리찍었습니다. 그러자 한 스님이 불평했습니다.
“스님, 무슨 이유로 곡괭이로 저희의 방을 찍는 것입니까?”
성철 스님은 큰 소리로 나무랐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잠만 자면 언제 공부해?”
그리고는 젊은 스님들을 모아 놓고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옷은 떨어진 것을 모아 몸을 가릴 정도면 된다. 세상 사람과 같이 잘 먹고, 잘 입으려면 집을 떠나서 출가할 필요가 어디 있겠느냐? 음식은 영양 부족이 안 될 정도면 되고, 머무는 곳은 바람과 비를 가려 병이 안 날 정도면 된다. 조금이라도 사치한 마음을 가져서는 안 된다.”

7. 화려한 겉모습보다 정신이 건강해야 p.34~35

성철 스님이 머무는 백련암은 전혀 화려하지 않습니다. 무슨 치장이나 장식을 하는 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스님이 출가
하고부터 큰 절에 머물지 않고 토굴이나 조그만 암자를 찾아다닌 이유도 거기에 있습니다.
스님이 큰절에 머물지 않는 것은 사람이 북적이는 곳 보 다 조용한 데 있기 위해서입니다. 이런 스님의 생활 방식 때문에 스님이 머물렀던 백련암은 단청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옛날 건물의 벽이나 기둥, 천장 같은 데에 연꽃이나 구름무늬 같은 여러 가지 그림을 그려 넣는 것을 단청이라고 합니다. 단청은 빨간색과 파란색을 주로 사용하므로 화려하기 그지없습니다. 습기나 바람, 벌레들로부터 건물을 보존할 수 있어서 나무로 된 절에는 대부분 단청이 되어 있습니다.
어느 날, 신도들이 스님의 허락만 떨어지면 단청을 할 생각으로 스님에게 물었습니다.
“스님, 왜 단청을 안 하십니까?”
“단청한 집에 살기 싫어서 그렇다.”
“치장이나 장식을 싫어하시는 스님의 뜻은 알겠으나, 단청을 하셔야 합니다. 단청을 해야 집이 오래갑니다.”
“20년을 살 집이 10년밖에 안 간다 해도, 나는 단청 안 하고 10년 가는 집에서 살겠다.”

3. 삼천 번 절하고 와라 p.74~75

1981년 겨울, 법정 스님이 중앙일보 이은윤 기자와 함께 백련암을 찾아 성철 스님과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습니다. 이때 법정 스님은 성철 스님의 뜻을 다 알고 있으면서도 여쭈었습니다.
“스님을 뵈려면 누구나 부처님께 삼천 번 절을 올려야 된다고 합니다. 일반인들의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해 그 까닭을 말씀해 주십시오.”
“흔히 삼천 번 절을 하라고 하면 나를 보기 위해서 하라고 하는 줄 압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습니다. 승려라면 부처님을 대신할 수 있는 사람을 말하는데, 어느 점으로 보든지 내가 무엇을 가지고 부처님을 대신할 수 있겠습니까?
그래서 나를 찾아오지 말고 부처님을 찾아오라고 하는 것입니다. 나를 찾아와 봐야 아무 이득이 없습니다. 그래도 사람들이 찾아오면, 그 기회를 이용해서 부처님께 절을 하라고 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삼천 번 절을 시키는데, 그냥 절만 하는 것이 아니라 남을 위해 절하라고 합니다. 그렇게 삼천 번 절하고 나면 그 뒤부터는 자연히 절을 하게 됩니다.”
이처럼 성철 스님은 이처럼 부처님 앞에 나아가 드리는 절을 신앙 의식이자 생활로 여겼습니다. 그리고 스님 자신도 하루가 시작되는 새벽이면 어김없이 108번 절을 했습니다.

10. 성철은 한국 불교의 보물이야! p.95~96

1965년 봄, 성철 스님은 경상북도 문경 운달산에 있는 김룡사로 거처를 옮겼습니다. 신라시대 운달 스님이 지은 절입니다. 이 절에서 성철 스님은 신도들을 위해 처음 법회를 열었습니다. ‘운달산 법회’라고 불리는 이 유명한 법회는 일반 불교 신자들도 불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기틀이 되었습니다.
성철 스님은 과학 서적과 자료를 읽고 공부하여 그동안 불교보다 한 걸음 앞선 불교 이론을 전개했습니다. 스님의 풍부한 학식에 학자들도 놀랐습니다. 불교를 2천 년 전의 교훈으로만 알고 있던 사람들에게 스님은 첨단 물리학인 상대성이론, 변증법, 최면술, 심령과학 등의 예를 들어 불교 교리를 설명했습니다.
사람들이 어려워하는 불교의 근본 원리인 ‘생기지도 없어지지도 않는다’는 것을 상대성이론의 등가 원리로 설명했습니다. 상대성 원리로 얘기해도 사람들이 못 알아들으면 다시 물과 얼음에 비유하여 설명했습니다.
예를 들면 물이 얼어 얼음이 된다고 해서 물이 없어지는 것이 아닌 듯, 얼음이 녹아 물이 된다고 해서 얼음도 없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얼음이 물로 나타나고, 물이 얼음으로 나타났을 뿐이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모든 것은 언제나 생기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는다는 이치를 설명했습니다.
스님이 심령과학 얘기를 할 때는 더욱 재밌습니다. 여러 가지 윤회와 사실들에 관한 말씀을 들을 때 사람들은 숨소리조차 죽이며 귀를 기울였습니다